![](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EhV6Y/btrsA5VjyBN/kIBgbXV3KrO5FDqWKvvFGk/img.png)
국가의 보조가 필요한 차상위 빈곤층을 기초생활수급자로분류 합니다. 그런데 기초수급자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부양가족의 재산을 체크 하기때문에 자녀가 어느정도 소득이 있다면 지금 당장 소득이 없어도 기초생활수급자로 분류되기는 쉽지 않습니다. 차상위계층이란 잠재적 빈곤층으로 부양가족이 있어서 기초생활수급자 대상에서 제외 되었거나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경우를 말합니다. 차상위계층 기준 1.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기준 중위 소득은 말 그대로 국민들의 소득을 나열했을때 딱 중간에 해당하는 소득을 말합니다. 차상위 계층은 이 중위소득의 50% 이하일경우 대상자가 됩니다. 2022년 기준 중위소득은 1인가구일경우 약 194만원 2인가구 약 326만원입니다. 차상위 계층은 이 소득의 절반인 50% 이하일경우에 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RAkmX/btrsjaCXPzd/MPZwM313eXkmlSmgReKrN0/img.png)
노령연금 노후 대책의 하나로 꼭 알아야할 노령연금. 국가연금에 해당하는 노령연금은 기초노령연금입니다. 수입이 없거나 줄어든 노후에 최소한의 생활 대책을 위해 꼭 필요한 연금제도 인데요, 노령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충복해야합니다. 이 중 하나로 재산의 기준이 정해져 있다는 사실알고 계시나요? 노령연금 재산 기준과 함께 신청 방법 알기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노령연금 신청 바로가기 노령연금(=기초연금) 신청은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하실수 있습니다. 아래 영상에 신청방법이 자세히 나와 있으니 혼자서 신청이 어려우신 경우 영상을 한번 확인해 보시고 그대로 따라해 보세요. 노령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1.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 2. 아래 재산기준(소득 기준) 충족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5ODLV/btrrAdGHdcr/V1GfYiNHPafCr2u1WtbOIK/img.png)
증여세율 총정리 우리가 다른사람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게 되면 그에따른 세금을 내야합니다. 죽음과 세금은 피할수 없다는 말이 있듯이 모든 재화의 움직임에는 세금이 따르죠. 이 증여는 친족간의 증여는 물론 타인의 증여가 모두 포함됩니다. 증여세율표를 통해 증여금액에 따라 어느정도의 증여세 세율이 적용되는지 정리 했습니다. 증여세 납부 의무자는 누구? 증여세는 증여를 받은 사람이 현재 거주하는 사람인지 거주하지 않는 사람인지에 따라 납부에 차이가 있습니다. 국내에 있는 증여재산은 수증자(=증여받은 사람)이 증여세를 냅니다. 반면 국외에 있는 증여 재산은 증여자가 증여세를 납부해야합니다. 금액별 증여세 증여세도 증여 금액에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1억원 이하의 금액을 증여할경우 세율은 10%가 적용됩니다. 5억..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Gcvyn/btrruouLZIs/ac9mkAeN0YKxTdQxDju8j1/img.png)
간이과세자 기준 사업자등록을 하게 되면 가장먼저 고민되는것이 간이과세와 일반과세자중 어느것이 더 유리할까? 여부인데요, 이 차이를 정확히 알려면 간이과세자 기준을 명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1. 간이과세자 기준 간이과세 요건을 충족하면 세금계산서 발행 의무를 면제받게 됩니다 또한 1.5~4% 사이의 낮은 세율을 적용받기때문에 처음 사업을 처음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이용하기 좋은 제도중 하나입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것이 매출인데요 기존에는 간이과세의 기준이 직전연도 공급대 4,800만원 미만이 기준이었는데 올해부터는 기준금액이 8,000만원으로 개정되었습니다. 다만 모든 업종이 해당되는것은 아니고 부동산입대업이나 과세유흥장소등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4,800만원이 기준금액입니다. 즉, 1년 매출이 8천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