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보건증 발급 방법

일을 하다 보면 보건증을 발급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 마련이죠. 보건증 정확히 어디서 발급받을 수 있고 비용은 얼마인지 알려드릴게요!

 

보건증이란?

보건증이란 건강진단결과서를 말합니다. 보통 음식관련 업종이나 유흥업종에서 근무할 경우 손님들이 먹는 음식을 만들고 서빙하는 일을 하기 때문에 손님들에게 옮기면 안 되는 병은 없는지 검사해서 이상 없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보건증 검사항목은 주로 전염성이 높은 병들입니다. 근무하는 업종에 따라 검사 항목이 조금씩 달라지긴 하지만 크게 보면 장티푸스, 폐결핵, 전염성피부질환 등을 공통적으로 진행합니다. 

 

보건증 발급 소요시간은 검사후 약 5일이 걸립니다.

이렇게 발급받은 보건증 유효기간은 검사일로부터 1년!

이 때문에 1년이 지나면 같은 업종에서 근무 시 다시 한번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보건증 어디서 발급받나?

 

코로나19 이전 보건증 발급 장소 : 보건소

코로나19 시대 보건증 발급 장소 : 인근 병원 

코로나19가 종식되면? : 보건소에서 다시 발급 가능 

 

코로나19 이전에는 보건증을 보건소에서 저렴한 비용에 쉽게 발급 받을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코로나19 이후에는 보건소에서 코로나 관련 업무를 진행하고 있어서 보건증을 발급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일반병원을 찾아가 발급받아야 합니다.

 

 

보건증 발급비용은 얼마?

 

보건소 보건증 발급비용 : 3천원

일반비용 보건증 발급비용 : 1만 원~4만 원 

 

보건소에서 보건증 발급 시 검사비용은 3천 원, B형 간염 항체 검사비 5,670원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병원에서 보건증 발급 시에는 정해진 비용이 없습니다. 때문에 병원에 따라 보건증 발급 비용이 달라집니다.

 

더구나 최근에 병원에서 보건증 발급비용으로 폭리를 취한다는 뉴스도 종종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병원에서 보건증 발급받을 때 드는 비용은 적게는 만원대부터 많게는 3~4만 원까지 나온다고 하니 병원 방문 전에 보건증 발급 비용을 꼭 확인하고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보건증 발급 병원 찾는 방법은?

보건소에서 보건증 발급을 안 한다면 내 주변에서 보건증 발급 업무를 하는 병원을 찾아야겠죠?

많은 블로그 글들을 보면 보건기관 찾기 사이트인 https://www.g-health.kr/ 를 통해 찾으라고 쓰여 있는데 이 메뉴에서는 내 주변의 병원 위치를 찾을 수 있지만 그 병원에서 보건증 발급 업무를 하는지까지는 정확히 알기 어렵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내가 검사를 하러 가는 지역의 보건소에서 보건증 발급 병원정보를 찾아서 가시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거주 지역에 따라 코로나 시국이어도 보건소에서도 보건증을 발급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으며 지자체별로 일반병원에서 보건증을 발급받았을 경우 그 비용을 건강보험 적용해주거나 지자체에서 지원해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몇 개 지역만 검색해 볼까요?

서울 강남구 보건증 발급 병원은 아래 메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1.8.2~12.31일까지는 한시적으로 보건증 발급비용이 건강보험 적용된다고 쓰여 있네요.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한시적 건강보험 적용 안내 | MEMEWE GANGNAM 강남구청 > 행정 > 공지사항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건강보험 지원 안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발급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한시적으로 건강보험 적용 안내입니다.1. 주요내

www.gangnam.go.kr

수원 보건증 발급 병원은 아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 가능하네요.

 

 

보건소식-보건소 게시판-정보광장- 수원시보건소

보건소식 홈 정보광장보건소 게시판 보건소식

health.suwon.go.kr

이런 식으로 발급받으려는 지역의 보건소 사이트에서 검색을 해보시고 해당 병원 방문 전에 다시 한번 검사 여부 확인 후 방문하시는 게 바쁜 일상에 헛걸음을 줄이는 팁입니다.

 

 

보건증 재발급 방법은?

보건증 최초 발행 시에는 무조건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서 받아야 합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은 이미 받은 보건증을 재발급할 때만 가능합니다.

 

보건증 재발급은 아래 순서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공공보건 포털 접속 > 온라인 민원 서비스  > 제증명 발급 선택 > 보건증 인터넷 출력 

 

*공공보건 포털 사이트

 

G-health 공공보건포털

공공보건포털 G-health입니다.

www.g-health.kr

 

정부 24 사이트에 가입되어 있다면 여기서도 발급 가능합니다.

정부 24접속 > 정부서비스 > 정부서비스신청> 건강.의료. >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발급 선택 > 보건증 인터넷 출력

 

* 정부24 사이트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의 서비스, 민원, 정책·정보를 통합·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포털

www.gov.kr

 

둘 중 회원가입이 되어 있는 사이트를 이용해서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건강진담결과서 (보건증) 발급 방법에 관한 모든것을 알려드렸습니다!

 

 

 

일상의 꿀팁 추가로 확인하고 가세요!

 

 

퇴직금 계산기 계산방법 총정리

퇴직금 계산기 계산방법 총정리 회사를 퇴직할 때 자동으로 받게 되는 퇴직금. 나의 퇴직금은 얼마인지 정확히 알고 있으신가요? 회사의 급여 지급 항목에 따라 내 퇴직금이 생각보다 적을 수도

nanatsrwe.tistory.com

 

휴일, 일요일 근무시 수당은 얼마를 받아야 하는걸까?

휴일 근무시 수당 계산방법 일을 하다보면 어쩔수 없이 휴일이나 일요일에 근무를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혀 달갑지 않은 일이만 그래도 어쩔수 없이 일을 했다면 수당은 제대로 챙겨 받

nanatsrwe.tistory.com

 

일요일 코로나 검사 하는곳 찾는방법

코로나19 확진자수가 도무지 줄어들 기미가 보이질 않네요. 코로나 검사는 선별진료소나 보건소에서 받을수 있는데요, 직장인의 경우 평일에 검사를 하기위해 휴가를 내기가 쉽지 않아서 증상

nanatsrwe.tistory.com

 

기타 궁금하신 사항은 언제든지 덧글 남겨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