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한민국 국민은 소득이 발생하기 시작할때부터 강제적으로 납부하는 연금이 있습니다 바로 국민연금인데요, 직장인은 월급 명세서를 보기도 전에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연금이라 내가 국민연금을 그동안 얼마나 납부했는지 납부내역을 조회해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본 글을 통해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하는 방법과 함께 국민연금 예상 수령금액 조회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납부내역조회

 

국민연금 납부내역조회

국민연금 가입내역 조회는 국민연금 관리공단을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 바로가기

 

 

조회방법 순서대로 알려드릴테니 찬찬히 따라해 보세요!

 

1) 국민연금 사이트 접속 >  로그인 하기

국민연금은 로그인을 해야만 조회가 가능합니다. 조회가 쉽도록 먼저 로그인을 진행해주세요. 로그인은 간편인증을 통해 로그인하거나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네이버, 카카오페이 인증서중 선택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관리공단 홈페이지 주소 

https://www.nps.or.kr/jsppage/main.jsp

 

2) 자주 찾는 민원서비스 > 내 연금 알아보기 클릭

 

3) 가입, 납부내역 조회 클릭

 

4) 총 납부내역 확인

아래와 같인 총 납부 개월수와 금액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위와같이 국민연금 납부내역을 조회한후 페이지를 아래쪽으로 내려보시면 현재까지 납부한 금액을 기준으로 예상되는 연금월액도 확인할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납부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이기때문에 조회 시점 이후로 추가로 국민연금을 납부하고 납부 기간이 길어진다면 예상 수령액 역시 달라집니다.

 

 

국민연금 수령나이

현재 국민연금을 납부중이거나 납부하다 멈춘 상태라면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납부한 사람이 65세가 되는 해부터 입니다. 이는 현재 기준으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추후에 변경도리 가능성도 있으니 수령나이가 가까워 지면 꼭 한번 다시 확인해보세요.

 

국민연금 추가납부 방법

실직이나 퇴사로 인해 국민연금 납입이 중지되었는데 추가로 국민연금을 내고싶다면 국민연금 추납제도를 이용할수 있습니다. 추가납부 방법은 아래 순서대로 진행하시면됩니다.

 

1) 국민연금 사이트 로그인

 

국민연금 홈페이지 바로가기

 

 

2) 전자민원 > 개인민원 선택 

 

3) 개인서비스 > 신고/신청 클릭

 

4) 추납보험료 납부 신청 클릭

5) 추납 대상자 확인 

개인에 따라 이 단계에서 추가 납부 신청이 가능한 사람도 있고 저처럼 지구언과 상담이 필요 하다고 나오는 사람도 있을것입니다.

저는 추가 납부 하려면 상담이 필요하다고 나오네요. 저와 같은 경우가 아니라면 보통은 추가 납부 가능한 개월수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6) 추가 납부 신청

추가 납부가 가능하다면 추납 희망기간과 납부 방법을 선택하고 추납을 신청하시면됩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이상이면서 55세~60세라면 조기수령이 가능 합니다.  다만, 모두다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할수 있는건 아니고 월 소득액 기준에 부합해야합니다. 이때 소득의 기준은 국민연금 가입자의 평균소득액보다 적어야 가능합니다. 이 금액은 매년 기준액이 달라지므로 신청시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금액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조기수령을 하게되면 그만큼 수령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55세 국민연금 조기수령시 - > 원래 수령액의 약 70%만 수령하게 됩니다.

 

 

여기까지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 국민연금 수령액 확인 방법과 함께 추납신청까지 모두 청리해 드렸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 있으시면 언제든지 덧글 남겨주세요!

 

반응형
댓글